퍼시픽 전통 강호, Paper Rex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
작성자
동양대 이스포츠 뉴스
작성일
2025-06-25 00:39
조회
131
퍼시픽 전통 강호, Paper Rex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
2025.06.24 | 남이안 (e스포츠학과 1학년 학생기자)

[Masters Toronto 최종 우승팀이 된 Paper Rex]
지난 6월 23일 치러진 VALORANT Masters Toronto 2025 결승전에서 Paper Rex(PRX)가 결승전 상대 팀 Fnatic(FNC)를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PRX는 퍼시픽 3시드로 마스터즈 토론토에 참여해, 플레이오프를 전승으로 마치며 우승을 하게 되었다. 지난 마스터즈 방콕에 이어 2번 연속 퍼시픽 소속 팀이 마스터즈 우승을 하며 퍼시픽 지역에 대한 평가와 기대감이 올라갔다는 의견이 있다. 이번 마스터즈 MVP는 팀에서 IGL(인게임 리더)과 플렉스(팀 내에서 다양한 요원을 맡는 역할) 포지션을 맡고 있던 f0rsakeN(제이슨 수산토, 인도네시아)가 선정됐다.
[Paper Rex 마스터즈 토론토 로스터]
Jinggg (왕징제, 21 | 싱가포르)
something (일리야 페트로프, 23 | 러시아)
f0rsakeN (제이슨 수산토, 21 | 인도네시아)
PatMen (패트릭 멘도사, 23 | 필리핀)
d4v41 (할리시 루샤이디, 26 | 말레이시아)
(비활성) mindfreak (에런 레온하트, 25 | 인도네시아)
(Head Coach) alecks (알렉상드르 살레, 35 | 프랑스)
(Performance Coach) Panda (라이준 청 | 미국)
‘많은 변화가 있었던 마스터즈 토론토’
이번 마스터즈 토론토가 진행되기 전 게임 안팎으로 많은 변화가 생겼다. 먼저 VCT CN 소속 XLG Esports(XLG)에서 척후대를 맡고 있었던 YoU(엽문호, 홍콩)가 많은 논란 속에 팀을 탈퇴하게 되었다. 중국어를 하지 못하는 Rargar(아르투르 추류모프, 러시아)와 hvoya(알렉산드로 예료민, 러시아) 코치를 위해 팀에서 통역 및 서브 콜링등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자리는 더욱 크게 느껴지며, CN 1시드로 플레이오프 자동 진출을 했지만 총 0승 2패로 플레이오프에 탈락하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VCT EMEA 소속 Team Liquid(TL)에서 감시자와 IGL을 맡고 있었던 nAts(아야즈 아흐메트신, 러시아)가 비자 문제로 인해 6월 8일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면서 TL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급하게 캐나다 국적의 전 YFP 소속 penny(에릭 페니, 캐나다)를 영입하면서 급한 불을 껐지만 6월 8일 스위스 1라운드 상대였던 Bilibili Gaming(BLG)에게 1:2 스코어로 패배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결국 총 1승2패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면서 9~10등으로 마스터즈 토론토를 마무리했다.
마지막으로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OP’라고 평가받던 테호가 10.09 패치를 통해 전체적으로 너프되었다. 이번 마스터즈 토론토는 테호 너프가 적용된 10.10 버전으로 대회가 진행됐다. 테호의 주요 스킬 중 하나인 ‘유도 일제 사격’의 충전이 삭제되고 ‘잡입 드론’의 가격 증가, 궁극기 포인트가 8개에서 9개로 늘어나며 테호를 주력으로 사용하던 팀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각 권역별 마스터즈 토론토 진출 팀]
‘만년 2등… 어떻게 마스터즈 토론토를 제패했나’
Paper Rex는 국제전인 마스터즈 코펜하겐 2022 준우승, 마스터즈 도쿄 2023 3등, 챔피언스 2023 준우승 등, 국제전에만 오면 준우승 이상의 벽을 넘지 못하고 지난 2025 퍼시픽 킥오프와 스테이지 1에서 각각 8강과 3등으로 마무리하며 큰 기대를 받지 못했던 팀이다. 하지만 스테이지 1에서 새롭게 팀으로 합류한 PatMen(패트릭 멘도사, 필리핀)이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킥오프와 스테이지 1 내내 PRX가 적응하지 못했던 ‘테호 메타’가 다음 마스터즈 토론토부터 너프된 버전으로 적용되어 이전처럼 잘 사용되지 않을 거란 예측이 많아, PRX의 호재를 불렀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이 “테호가 너프된 후 PRX가 다시 기존의 템포를 찾으면서 좋은 성적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을 남겼다.
실제로 기존에 테호를 즐겨쓰던 팀들이 새롭게 바뀐 메타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기존의 성적을 이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며 PRX 팬들을 기대하게 했다. 플레이오프에 들어선 PRX는 G2 Esports를 시작으로 Sentinels, Wolves Esports를 전부 스코어 2:0으로 꺾으며 승자조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결승 상대는 패자조에서 RRQ, SEN, G2, WOL을 모두 이긴 Fnatic이 올라오게 되었다. Fnatic은 플레이오프 첫 경기에서 Gen.G에게 스코어 2:1로 패배하며 위기가 왔지만, 테호가 너프되며 교전력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재 메타에서 최고의 주가를 달리고 있는 kaajak(카예탄 하렘스키, 폴란드), Alfajer(에미르 알리 베데르, 튀르키예), Chronicle(티모페이 흐로모프, 러시아) 3인방의 합으로 끈질기게 패자조로 떨어진 모든 팀을 이기며 결국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모든 세트에서 접전을 펼치며 최종 스코어 3:1로 Paper Rex가 승리하면서, 플레이오프 전승 우승을 달성했다. 새롭게 PatMen을 영입하면서 기존 난전 위주에 게임을 즐기던 PRX에 운영이 추가되면서 팀의 안정성이 높아졌다는 반응이 있었다.

[Paper Rex의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 챔피언스까지 이어질까'
Paper Rex는 이번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을 통해 본인들이 진정한 퍼시픽 1위임을 다시금 증명했다. 테호 너프와 같이 큰 변화가 닥쳐오지 않는 이상 앞으로 PRX의 전망을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전 2023 챔피언스 LA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했기 때문에 많은 팬들은 PRX 챔피언스 우승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PRX는 이번 마스터즈 우승을 하면서 챔피언쉽 포인트 7점을 획득하면서 챔피언쉽 포인트 순위 1위로 올라서며 챔피언스 진출의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다시 한 번 PRX의 시대가 도래할지 기대가 되는 앞으로의 퍼시픽이다.
2025.06.24 | 남이안 (e스포츠학과 1학년 학생기자)

[Masters Toronto 최종 우승팀이 된 Paper Rex]
지난 6월 23일 치러진 VALORANT Masters Toronto 2025 결승전에서 Paper Rex(PRX)가 결승전 상대 팀 Fnatic(FNC)를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PRX는 퍼시픽 3시드로 마스터즈 토론토에 참여해, 플레이오프를 전승으로 마치며 우승을 하게 되었다. 지난 마스터즈 방콕에 이어 2번 연속 퍼시픽 소속 팀이 마스터즈 우승을 하며 퍼시픽 지역에 대한 평가와 기대감이 올라갔다는 의견이 있다. 이번 마스터즈 MVP는 팀에서 IGL(인게임 리더)과 플렉스(팀 내에서 다양한 요원을 맡는 역할) 포지션을 맡고 있던 f0rsakeN(제이슨 수산토, 인도네시아)가 선정됐다.
[Paper Rex 마스터즈 토론토 로스터]
Jinggg (왕징제, 21 | 싱가포르)
something (일리야 페트로프, 23 | 러시아)
f0rsakeN (제이슨 수산토, 21 | 인도네시아)
PatMen (패트릭 멘도사, 23 | 필리핀)
d4v41 (할리시 루샤이디, 26 | 말레이시아)
(비활성) mindfreak (에런 레온하트, 25 | 인도네시아)
(Head Coach) alecks (알렉상드르 살레, 35 | 프랑스)
(Performance Coach) Panda (라이준 청 | 미국)
‘많은 변화가 있었던 마스터즈 토론토’
이번 마스터즈 토론토가 진행되기 전 게임 안팎으로 많은 변화가 생겼다. 먼저 VCT CN 소속 XLG Esports(XLG)에서 척후대를 맡고 있었던 YoU(엽문호, 홍콩)가 많은 논란 속에 팀을 탈퇴하게 되었다. 중국어를 하지 못하는 Rargar(아르투르 추류모프, 러시아)와 hvoya(알렉산드로 예료민, 러시아) 코치를 위해 팀에서 통역 및 서브 콜링등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자리는 더욱 크게 느껴지며, CN 1시드로 플레이오프 자동 진출을 했지만 총 0승 2패로 플레이오프에 탈락하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VCT EMEA 소속 Team Liquid(TL)에서 감시자와 IGL을 맡고 있었던 nAts(아야즈 아흐메트신, 러시아)가 비자 문제로 인해 6월 8일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면서 TL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급하게 캐나다 국적의 전 YFP 소속 penny(에릭 페니, 캐나다)를 영입하면서 급한 불을 껐지만 6월 8일 스위스 1라운드 상대였던 Bilibili Gaming(BLG)에게 1:2 스코어로 패배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결국 총 1승2패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면서 9~10등으로 마스터즈 토론토를 마무리했다.
마지막으로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OP’라고 평가받던 테호가 10.09 패치를 통해 전체적으로 너프되었다. 이번 마스터즈 토론토는 테호 너프가 적용된 10.10 버전으로 대회가 진행됐다. 테호의 주요 스킬 중 하나인 ‘유도 일제 사격’의 충전이 삭제되고 ‘잡입 드론’의 가격 증가, 궁극기 포인트가 8개에서 9개로 늘어나며 테호를 주력으로 사용하던 팀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각 권역별 마스터즈 토론토 진출 팀]
‘만년 2등… 어떻게 마스터즈 토론토를 제패했나’
Paper Rex는 국제전인 마스터즈 코펜하겐 2022 준우승, 마스터즈 도쿄 2023 3등, 챔피언스 2023 준우승 등, 국제전에만 오면 준우승 이상의 벽을 넘지 못하고 지난 2025 퍼시픽 킥오프와 스테이지 1에서 각각 8강과 3등으로 마무리하며 큰 기대를 받지 못했던 팀이다. 하지만 스테이지 1에서 새롭게 팀으로 합류한 PatMen(패트릭 멘도사, 필리핀)이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킥오프와 스테이지 1 내내 PRX가 적응하지 못했던 ‘테호 메타’가 다음 마스터즈 토론토부터 너프된 버전으로 적용되어 이전처럼 잘 사용되지 않을 거란 예측이 많아, PRX의 호재를 불렀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이 “테호가 너프된 후 PRX가 다시 기존의 템포를 찾으면서 좋은 성적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을 남겼다.
실제로 기존에 테호를 즐겨쓰던 팀들이 새롭게 바뀐 메타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기존의 성적을 이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며 PRX 팬들을 기대하게 했다. 플레이오프에 들어선 PRX는 G2 Esports를 시작으로 Sentinels, Wolves Esports를 전부 스코어 2:0으로 꺾으며 승자조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결승 상대는 패자조에서 RRQ, SEN, G2, WOL을 모두 이긴 Fnatic이 올라오게 되었다. Fnatic은 플레이오프 첫 경기에서 Gen.G에게 스코어 2:1로 패배하며 위기가 왔지만, 테호가 너프되며 교전력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재 메타에서 최고의 주가를 달리고 있는 kaajak(카예탄 하렘스키, 폴란드), Alfajer(에미르 알리 베데르, 튀르키예), Chronicle(티모페이 흐로모프, 러시아) 3인방의 합으로 끈질기게 패자조로 떨어진 모든 팀을 이기며 결국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모든 세트에서 접전을 펼치며 최종 스코어 3:1로 Paper Rex가 승리하면서, 플레이오프 전승 우승을 달성했다. 새롭게 PatMen을 영입하면서 기존 난전 위주에 게임을 즐기던 PRX에 운영이 추가되면서 팀의 안정성이 높아졌다는 반응이 있었다.

[Paper Rex의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 챔피언스까지 이어질까'
Paper Rex는 이번 마스터즈 토론토 우승을 통해 본인들이 진정한 퍼시픽 1위임을 다시금 증명했다. 테호 너프와 같이 큰 변화가 닥쳐오지 않는 이상 앞으로 PRX의 전망을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전 2023 챔피언스 LA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했기 때문에 많은 팬들은 PRX 챔피언스 우승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PRX는 이번 마스터즈 우승을 하면서 챔피언쉽 포인트 7점을 획득하면서 챔피언쉽 포인트 순위 1위로 올라서며 챔피언스 진출의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다시 한 번 PRX의 시대가 도래할지 기대가 되는 앞으로의 퍼시픽이다.

전체 0